본문 바로가기
나의 축구/전력분석, 코칭, 더 나아가 축구와 전체적인 인생에 대하여

[나의 생각] 전력분석, 코칭, 더 나아가 축구와 전체적인 인생에 대하여 - 전력분석 프로세스 및 필요성

by 엽코치 2024. 2. 15.
728x90
320x100

*서론

*짧은 축구인생 이야기

*축구란 종목은 무엇인가?

  1.전술이 필요한 이유?

  2.전술이란 무엇인가?

  3.전략 vs 전술

*전술의 입장에서 봤을 때 전력분석은 필요하나?

  1.전력분석은 무엇이고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나?

      1)비토르 프라데 - 전술적 형태주기

  2.전력분석은 왜 훈련으로 이어져야 하나?

*내가 생각하는 ㅇㅇ

  1.내가 생각하는 축구

  2.내가 생각하는 전력분석

  3.내가 생각하는 훈련

 

*전술의 입장에서 봤을 때 전력분석은 필요하나?

1.전력분석은 무엇이고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나?

 그럼 전력분석은 무엇일까? 지피지기 백전백승이란 말이 있다. 나를 알고 상대를 알아야 백번 싸워 백번 이긴다는 뜻이다. 예로 전해져 내려온 아주 유명한 말이다. 어릴 때 삼국지 하나쯤은 다 읽어봤을 것이다. 전투에서 꼭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정찰이다. 정찰병이 상대 진영으로 용감하게 침투하여 상대의 상황과 지형물 등등을 파악하여 장군에게 보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장군들이 전투에서 이기기 위한 전략을 세운다. 축구에서도 마찬가지다. 상대팀을 이기기 위해선 상대팀을 이길 수 있는 확률을 먼저 높이는 것이 우선이다. 수단이 다는 아니지만 확률을 높일수록 더 편하게 더 쉽게 이길 수 있으니까. 그래서 이길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것이 바로 전력분석이다. 먼저 특히 프리시즌에 우리팀의 전력을 파악하고, 경기가 다가올 때 쯤 상대를 파악하여 상대를 공략하기 위한 게임 플랜을 짜내는 것이 바로 축구에서의 전력분석이다.

 
 전력분석은 단순히 경기만 보는 것이 아닌 우리의 게임모델에 맞춰 경기를 보고 어떤 것들이 있을까 캐치해내고 잠재적으로 일어날 만한 상황을 구상하는 수준까지 가야 한다. 여기서 카테고리를 더 명확하게 만드는 요소는 바로 데이터다. 경기에서 나오는 Scatter Diagram, Sequential Data 등등 뿐만 아니라 기간 내 이뤄진 빅데이터를 팀 상황에 맞게 추릴 줄 알아야 한다. 그래서 단순히 축구를 보는 것 뿐만 아니라 팀 사정에 따라서는 데이터도 '직접' 추출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체력을 요하고 있다.
 

1)비토르 프라데 - 축구 형태주기에 입각한 전력분석 프로세스

https://brunch.co.kr/@kamugo92/8 https://brunch.co.kr/@kamugo92/122

 

전술적 주기화 - periodização tática

전술적 주기화 - periodização tática 1. 도입부 „periodização tática(전술적 주기화)“ 는 포르투갈 스포츠 교수인 Vitor Frade에 의해 90년대 후반 발전되었다. 안드레 비아스 보아스, 브랜든 로저스 그

brunch.co.kr

 

무리뉴 축구 훈련 이론 - 전술적 주기화

축구훈련 | 축돌이입니다. 전 사우스햄턴 코치 샤비에르 따마릿이 쓴 전술적 주기화 책을 읽은 뒤에 다시 한 번 내용을 정리하고 싶었는데, 슈필페어라게룽에 좋은 글이 있어 여러분들께 소개

brunch.co.kr

 - 축구 형태주기에 관한 블로그 글 -
 - 마우리시오 사리 UEFA PRO 라이센스 논문 (1화부터 15화까지 끝까지 참고하시기 바람, 각 형태주기에 기재)
 
 전력분석의 프로세스를 보기 위해서는 먼저 이 축구 형태주기에 관한 이해가 먼저 있어야 한다. 앞서 단위별 원칙에 대해선 축구의 개념적 접근에서 다뤘다. 매주 일요일마다 경기가 있는 주 1회 경기를 하는 팀으로 기준을 잡았다. (MD -> Match Day)
 원래 일주일의 시작은 월요일부터다. 하지만 전력분석 프로세스의 기준으로 설명하려면 상대팀 분석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래서 화요일 저녁에 있는 코칭스태프의 상대분석부터 시작할 것이다.
 

수평적 변화의 법칙

퍼포먼스 유지의 원칙
 
 

*화 MD-5 - 상대분석

 수요일은 게임모델 학습의 첫날이기 때문에 코칭스태프 팀은 오후 회복세션을 마치고 상대팀 분석을 하기 시작한다. 보통이면 감독이 2경기, 코치가 2경기를 분석하여 최대 4경기의 분석을 한다. 분석관이라면 상대의 원칙에 맞게 데이터를 추출한 후 분석을 한다. 분석이 완료되면 국면과 원칙에 맞게 훈련세션을 구성한다.
 

*수 MD-4 - 하위 / 하위-하위 원칙 및 스트렝스

 게임모델의 학습 및 신체적 자극의 획득단계의 첫 날이다. 그래서 하위 및 하위-하위 원칙을 개인, 그룹, 부분, 부분 간 수준에서 다룬다. 스트렝스기 때문에 공간을 좁히고 지속시간을 짧게 가져가 최대 강도를 가져가며 가감속, 속도 및 방향전환, 점프, 슈팅 등을 하는 수준으로 훈련을 진행한다. 그래서 훈련 간 휴식시간은 길게 가져가야 한다. 물론 상대에게 초점을 맞추지 않고 게임모델의 특정 부분에 대해 다루지만 이는 코치의 재량이다. 물론 마우리시오 사리 논문에서는 지난 경기에 있었던 요소를 스트렝스의 관점에서 지난 경기에 있었던 요소에 대해 훈련을 진행했다.
 

 - 오전활동 -> 피지컬적인 목표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43&page=20
 

 - 오후활동 -> 문제점 훈련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44&page=20
 

*목 MD-3 - 하위-하위 원칙 및 지구력

 오전에 코치와 감독은 상대의 지난 2~4경기에 대해 필드에서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영상으로 의견을 나누는 미팅을 가진다. 그래서 오후에 있을 훈련에 대해 구상을 한다. 지구력이기 때문에 가장 복잡하고 강도가 가장 높은 수준의 훈련을 진행한다. 그래서 11vs11과 같은 팀 및 부분 간 수준을 중점으로 맞춘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게임과 비슷한 상황이 연출될 것이다. 이렇게 일관성 내 일관적이지 않는 요소를 만들어낸다. 이는 감독이 정해놓은 틀 안에 선수가 자신만의 스타일대로 다양하게 플레이를 가져가는 것이다. 다르게 말하면 예측불가능을 예측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렇게 다양한 상황을 연출하여 선수들이 그 상황을 적응해내도록 만든다.
 
 이 날에는 선수들이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 피로가 완전히 회복되어 있을 시간이다. 그렇기 떄문에 다음 상대에 관한 소개를 하여 선수들이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예를들면 '상대가 빌드업 시 롱볼을 자주 사용하지만 세컨볼을 탈취해내지 못한다'는 요소다. 그러면 감독은 전술적인 요소를 설명하고 코치는 이에 대한 영상 및 사진자료를 보여주면서 소개한다.
 

- 오전활동 -> 문제점 훈련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47&page=20
 

 - 오후활동 -> 상대팀 대응 훈련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49&page=19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50&page=19
 

*금 MD-2 - 하위-하위 원칙 및 스피드

 이 날의 훈련은 목요일처럼 팀 및 부분간 수준의 단위로 진행한다. 스피드이기 때문에 속도와 민첩성을 중점으로 훈련을 진행한다. 스피드에서는 신체적 스피드도 있지만 판단의 속도 및 정확성과 같은 정신적 스피드도 존재한다. 목요일에 선수가 완전히 회복하게 되니 목요일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피로가 가장 극에 달한다. 그래서 금요일에는 훈련을 한 세션의 시간과 반복 수는 줄이고 최대 스트렝스는 부담스럽지 않는 선에서 구상해야 한다. 하지만 신체적, 정신적 스피드를 기르기 위해선 공간을 줄여 선수들에게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없어지게 되고 결국 더 빠른 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날은 상대팀의 개인전술을 분석하여 다음날 미팅에서 선수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가이드라인을 구성한다.
 

 - 오전활동 -> 상대팀 대응 훈련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51&page=19
 

 - 오후활동 -> 상대팀 대응 훈련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52&page=19
 

*토 MD-1 - 사전 활성화

 이 날은 경기의 마지막 날이다. 이는 선수들의 정신적, 신체적 피로를 회복하는 날이다. 코치는 특정 게임 상황, 세트피스, 11vs11 훈련을 진행한다. 지속시간을 짧아야 하고 휴식시간은 길게 가져가야 한다. 빠른 결정 및 활성화를 하고 많은 직선거리를 스프린트 하여 생긴 유산소적인 피로로 인한 부상방지를 위해 그리드를 축소시킨 11vs11 경기를 가져가야 한다. 신체적인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해 훈련시간은 1시간 내외로 한다.
 
 감독과 코치진은 게임의 최종 세부사항을 결정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게임모델과 훈련결과를 바탕으로 출전할 선수를 구성한다. 그리고 경기 전날 미팅에서는 상대 선수의 개인적인 요소에 대해 신체적, 전술적으로 다룬다. 
 

 - 세트피스 훈련 및 선수단 미팅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53&page=19
 

*일 MD - 경기날 16:00 킥오프

 아침식사 후 감독과 코치는 세트피스에서 보이는 움직임의 디테일에 대해 구상한다. 토요일에 훈련한 것들을 영상으로 분석하여 특정 선수가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누구를 어떻게 마크하거나 어떻게 마크를 떼어낼 지 의논해야 한다. 
 
 점심식사 후에는 일주일 간 훈련을 정리하고 전체적인 요소들을 필드에 가져갈 수 있도록 선수단 미팅을 가져간다. 도입부에 긴장감 흐르도록 만들어야 하고 이후에 정신적 및 행동적 측면에 대해 상기시키며 우리가 준비한 거시적인 전술적 요소들에 대해 명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해야 한다.
 
 베이스캠프에 도착했을 때에는 선수 개개인에게 개인전술에 대해 전달한다. 상대와의 1vs1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부분(간), 그룹 전술을 이행하기 위해 자신은 어떻게 풋볼 액션을 취해야 할지 설명한다. 그리고 선수가 100%의 퍼포먼스를 보이기 위해 약간의 동기부여도 해준다.
 
 전력분석관은 사전에 터를 잡아놓고 카메라를 설치한다. 또한 카메라를 노트북에 연결하여 카메라에 담긴 영상이 노트북의 분석 프로그램에 연동되는 지 확인한다. 또한 전력분석관의 노트북을 코치의 모니터와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코치와 감독에게 영상과 데이터가 전달되는지 확인한다.
 
 16:00에 경기가 시작되었다. 전력분석관은 높은 곳으로 올라가 준비한 것들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 모니터로 확인한다. 또한 선수들의 퍼포먼스와 상대의 전술변화를 라이브로 체크하여 즉각적으로 코치나 감독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하프타임 미팅 때 주요 요소들을 추려내 감독이나 코치에게 해당 요소에 대해 이야기하고, 감독과 코치들은 그 정보를 바탕으로 라커룸 대화를 이어나간다.
 

 - 경기 전 준비 및 경기 중 이벤트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55&page=19
 

*월 MD+1 - 수동적 회복

 보통 주기화 이론에서 월요일에 가벼운 회복세션을 취하고 화요일에 휴식을 취한다. 전술적 주기화 이론에서는 신체와 정신적 요소를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정서, 정신적 피로를 우선시한다. 그 때 코칭스태프 팀은 지난 경기를 분석하면서 무엇이 부족했는지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한 후 훈련세션을 제작한다.
 

 - 경기 후 분석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32&page=20
 

*화 MD+2 - 능동적 회복

 선수는 여전히 휴식중이니 선수가 육체적, 정신적 피로나 스트레스가 까다롭게 쌓이지 않는 선에서 간단한 훈련이나 게임모델의 하위원칙을 다룬다. 이전 경기에서 발생했던 요소도 가능하고 우리의 하위 원칙을 다루는 것도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아직 정신적 피로가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원칙으로 인하여 선수가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피해야 한다. 그래서 최대한 간단한 훈련을 진행한다. 하지만 훈련을 설렁설렁 하는 의미가 아니다. 선수들은 게임과 비슷한 강도의 훈련을 소화해야 한다. 물론 훈련의 원칙을 간단히 해야 하는 의미다.
 

 - 경기분석 보고서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33&page=20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34&page=20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35&page=20
 

 - 회복세션 강도 및 신체, 기술적 강화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37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42&page=20
 
 
 요약하자면 이렇게 될 수 있다.

화요일 저녁 -> 감독과 함께 상대팀 플레이스타일 분석 (2~4경기) 및 게임모델 형성 & 훈련세션 제작지원
수~금요일 -> 훈련을 촬영 & 부하 및 이벤트 데이터 추출, 보고서 제작하여 평가
금~토요일 -> 상대의 개인전술 및 세트피스 분석 & 선수에게 개별적 요소 전달
매치데이 -> 경기장에서 촬영장비 및 프로그램 연동 점검 & 실시간 경기분석 
경기종료 ~ 월요일 -> 우리팀의 경기분석 후 나타난 개선 부분 중심으로 훈련세션을 제작지원
화요일 -> 훈련 촬영 & 부하 및 이벤트 데이터 추출, 보고서 제작하여 평가


 

2.전력분석은 왜 훈련으로 이어져야 하나?

 공부를 예로 들 수 있다. 시험 고득점을 맞기 위해선 먼저 본인의 실력이 뒷받침 되어야 하지만 그 이후로는 시험출제 범위나 출제스타일과 같은 '전력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출제범위와 출제스타일만 알면 뭐하나? 결국은 출제범위와 출제스타일에 맞게 공부를 해야 한다. 이는 전력분석 이후 '훈련'과 상충되는 이야기다.

 
 경기에서 이기기 위해선 경기를 이길 수 있는 확률을 높이고 그럴 수 있는 환경조성을 하는 것이다. 환경조성을 위해선 전력분석이 필요하고 전력분석을 바탕으로 선수들은 게임모델에 대하여 훈련을 통해 체화를 할 필요가 있다. 경기는 감독이나 코치가 하는 것이 아니다. 선수들의 몫이기 때문에 선수들은 게임모델을 이해하고 수행해야 한다. 그렇게 훈련장에서 특정 상황에 대해 체화를 하게 되면 선수들은 경기장에 들어가서 더 쉽게 게임에 적응하고 이길 수 있는 확률을 더 높인다
 
 필자는 실제 팀 전력분석관으로 일하는 방향으로 분석글을 쓰게 된 것이다. 당연히 훈련도 관여를 할 줄 알아야 했다. 그래서 경기분석을 한 후(https://www.fmkorea.com/6651499343) 게임모델에 맞게 훈련세션을 제작(https://www.fmkorea.com/6664636936)하여 전력분석글을 작성했다.
 
 
 - 다음 내가 생각하는 ㅇㅇㅇ -


 

320x100